살인진드기 물린자국 맞는지 확인하는 법 간단 정리
최근 몇년전부터 살인진드기 때문에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 때문에 살인진드기에 대해서 두려워하는 마음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살인진드기에 대해서 알아보고 물린자국 및 증상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살인진드기 정의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살인진드기의 정식 이름은 작은소참진드기라고 부릅니다. 정식 명칭이 있는대도 살인진드기로 불리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이 진드기가 SFTS 바이러스 인자를 가지고 있는데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면 사람에게도 감염이 됩니다. 그리고 이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치사율이 6%정도로 높아 위험합니다. 거기다가 치료제나 백신이 아직 없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린다고 해서 물린 모든 사람이 죽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작은소참진드기 전부가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100마리 중에 1마리 이하의 낮은 확률로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관리를 잘해 개인 면역력이 높은 상태라면 SFTS 바이러스 감염확률은 낮습니다. 그렇다보니 살인진드기라고 불리는 진드기는 SFTS 바이러스 인자를 가지고 있는 작은소참진드기만 지칭하는 것입니다.
살인진드기 물린자국 확인방법
현실적으로 물린 자국만으로 살인진드기에게 물린 것인지 다른 벌레게에 물린 것인지 판별이 어렵습니다. 물린 자국을 긁다가 진드기를 발견하고 살인진드기인 것이 판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드기에 물린다면 피를 빨며 몸속으로 들어가려 합니다. 진드기를 무리해서 제거하려다가 머리까지 제거를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진드기에 물리게 되면 병원에서 의사에게 진드기를 제거하는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살인진드기 물리면 나타나는 증상
살인진드기에 물리면 다음 증상들이 발현됩니다. 1~2주간 잠복을 마치면 감기몸살 증상과 비슷하게 38도 이상의 고열 증상, 그리고 구토와 설사, 복통, 식욕저하 등의 증상이 발현됩니다. SFTS 바이러스 감염 증상인 혈소판 감소 증상도 나타납니다. 하지만 혈소판 감소는 혈액검사를 받아야 확인가능한 증상이고 혈액검사도 증상이 나타났을 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드기에게 물린 것이 확인되고 진드기를 제거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병원에서 검사를 통해 진드기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에 진단하게 되면 치료제와 백신이 없어도 대증 치료 등을 통해서 생존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람 간에 체액과 혈액 등으로 2차 감염이 발생되기 때문에 격리하여 관리할 수 있게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살인진드기 예방법
진드기는 풀이 많은 곳에 서식하고 있을 확률이 높은 편입니다. 그런 이유로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쩔수 없이 야외에서 활동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풀밭에 눕거나 옷을 벗는 것과 같은 행동은 조심해야 합니다. 피부를 드러내지 않도록 긴옷을 입는 것이 좋고 외출 후에는 샤워를 하여 몸에 붙어 있을 수도 있는 진드기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출시에 입었던 옷가지들은 꼭 세탁을 해야 합니다.
살인진드기로 인하여 감염이 발생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일입니다. 2006년부터 중국에서 감염이 발생하였으며 사망자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서도 2013년부터 확인이 되었으며 사람사이에서도 감염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살인진드기에게 물리게 되면 증상이 감기 몸살 증상과 유사하고 잠복기 동안에는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유사 증상시에는 의심을 해야 합니다. 살인진드기에 물렸을때에 대한 친료제가 아직은 없기 때문에 조기 발견 후 치료받는 것이 회복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런 부분 참고하시고 미리 대비하시기 바랍니다.